당뇨병과 가족력의 관계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당뇨병과 가족력의 관계
당뇨병은 여러 요인이 얽혀 발생하는 만성 질환입니다. 그중 가족력은 개인의 당뇨병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따라서 가족 중에 당뇨병 환자가 있다면,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당뇨병에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.
특히 질문하신 것처럼 외가 쪽에서 외할아버지만 당뇨가 있는 경우, 개인의 당뇨 발병 가능성은 일반적으로 당뇨병 가족력이 전혀 없는 사람에 비해 높아지기는 하지만, 그 증가폭은 비교적 경미합니다. 여러 연구에 따르면 부모 중 한 명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녀가 당뇨에 걸릴 위험은 일반 인구에 비해 약 10 ~ 15%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. 하지만 할아버지나 할머니 세대에만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, 부모님이나 형제자매가 당뇨병인 경우보다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그렇게 많이 높아지지는 않아요. 보통 5~10% 정도 더 높아지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.
당뇨병의 유전적 위험도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은 1차 친척의 당뇨병 유무입니다. 이는 유전적 연관성이 더 깊은 1차 직계가족의 병력이 2촌 이상 친척의 병력보다 개인의 당뇨병 발병 가능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. 즉, 부모가 당뇨 환자일 경우 자녀의 당뇨 발병 가능성은 약 30~40%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, 조부모만 당뇨일 경우는 이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 증가율이 유지됩니다.
외가와 친가의 유전적 차이를 살펴보면, 의학적으로 외가 또는 친가 중 어느 쪽이 더 유전 가능성이 높다고 명확하게 정의된 연구 결과는 없습니다. 당뇨병의 유전은 매우 복합적이고, 유전자뿐 아니라 생활습관, 식습관, 운동량 등 환경적인 요인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. 다만 일반적으로 일부 연구에서는 어머니로부터 전해지는 유전적 요소가 당뇨병의 발생에 좀 더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합니다. 이는 모계 유전을 통한 일부 특정 유전적 소인이 대사 기능과 인슐린 저항성에 더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. 그러나 이는 모든 사람에게 해당하는 명확한 결론은 아니며, 개인별로 차이가 클 수 있습니다.
가족력의 영향은 개별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, 조부모 한 분만 당뇨를 앓고 있는 경우 유전적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. 오히려 생활습관, 특히 비만, 운동 부족, 고탄수화물 식습관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유전적 소인보다 당뇨 발병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가족력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당뇨병에 걸린다고 단정할 수 없으며, 생활습관 관리와 정기적 건강검진 등을 통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.
결국 외할아버지 한 분만 당뇨병이 있으시다면,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은 보통 사람보다 아주 조금 높아지는 정도예요. 한 5~10% 정도? 그런데 식습관이나 운동 같은 생활 습관을 잘 관리하면 이 위험은 많이 줄어들 수 있어요. 또한 친가보다 외가가 더 유전적 가능성이 높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므로, 특정 가족력이 있다고 지나치게 염려하기보다는 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유지하며 꾸준한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.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